작가의 세계

[스크랩] 영남한글의 새길을 연 혜정 류영희선생의 50년 서예역정

함백산방 2010. 12. 28. 20:02

 

 

 

                               

                                작가의 세계 21. 혜정 류영희선생의 근영

 

 

 

         영남한글의 새길을 연 혜정 류영희선생의 50년 서예역정

 

                    글쓴이 : 정태수(월간 서예문화 편집주간, 한국서예사연구소장. 서예세상 지기)


  

 혜정(蕙汀) 류영희(柳永喜) 선생은 1942년 대구 침산동에서 태어난 대구토박이이다. 선생은 영남지역 한글서예계를 대표하는 여류중진작가로서 지역의 한글서단을 이끌고 있다. 오늘날 선생의 이러한 성취가 있기까지 두 분의 스승이 있었다. 동강 조수호선생과 소헌 김만호선생이 그분들이다. 동강선생은 작품에 철학을 담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소헌선생은 작품보다 인간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고 한다.

 

 선생은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고 1961년 초등학교 교사의 길을 걷기 시작하면서 서예공부를 병행하였는데 1966년 제15회 국전에서 영남지역에서는 한글로 처음 입선을 하였다. 당시 국전에서는 입상자가 몇 명 되지 않았고 특히 한글은 두서너 점에 불과하던 시절이었다. 국전에 입상하면서 교단에서 분필을 쥘 것인가 서단에서 붓을 잡을 것인가 고민하던 중 교사의 길을 접고 서예가로서 일생을 살아가야겠다는 결심을 굳히자 1976년 15년 동안 몸담았던 교직을 그만두고 혜정서예연구실을 개원하면서 본격적으로 서예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우리는 선생의 반세기에 가까운 서예역정을 입문할 때부터 80년대 중반까지의 20여년을 고전학서기로, 다양한 한글서체를 실험하고 연구해 온 2000년경까지를 변화모색기로, 2003년 3회 개인전 이후 최근의 작품경향을 자가서풍형성기로 구분하여 조망해보고자 한다. 

 

 

                      문화방송과 기차역마다 시비를 휘호해서 세우는 사업을 마치고 촬영. 2008년

 

                             2008년 혜정연묵회와 일본히로시마 서도가들과 국제교류전개최


 고전에서 길을 찾기 시작한 학서기

 

  중국 청말의 제백석(齊白石, 1857~1963)은 “나의 예술을 배우는 자는 살아남고 나의 예술양식을 닮아가는 자는 죽는다.[學我者生 似我者死]”라고 말하였다. 서예를 지도하거나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이 금과옥조로 여겨야 할 경구이다. 1997년 혜정선생이 한글서예를 공부하는 제자들을 위해 만든 서체진도표(圖1)에는 1단계부터 10단계까지 한글고전들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이 과정을 거치면 어느 정도 자신의 서풍을 형성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제정하였다고 한다. 오늘날 맹목적으로 스승글씨 흉내내기를 강조하는 공모전이 지배하는 서예교육현장에서 한글서예의 창신(創新)을 위해 여러 사람들이 말을 하지만 실제 구체적으로 접근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배우는 사람들로 하여금 이렇게 차근차근 고전공부를 통해 자신의 시각으로 자기개성미를 갖추도록 유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사출신인 혜정선생의 지도방법이 남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서체진도표는 바로 혜정선생 자신이 공부해 온 과정을 그대로 정리한 것이다.

 

 선생이 처음 붓을 잡기 시작한 것은 초등학교 재학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교내에서 서예를 잘 한다는 칭찬을 듣기 시작하면서 서예에 대한 관심의 끈을 놓지 않았다. 1955년 대구의 명문인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학교에 입학하면서 미술교사였던 동강 조수호선생과의 만남으로 인해 어린 소녀의 가슴에 서예의 매력이 뚜렷이 각인되었다. 붓글씨에 자질을 보인 소녀에게 동강선생은 칭찬으로 격려를 했고 그것은 오늘날까지 사제의 연으로 이어졌다. 교사가 되길 소망했던 그 여학생은 명석한 학생들이 갔던 대구사범학교에 입학했다. 사범학교를 졸업하던 그 해(1961년)에 경주내남초등학교 교사로 초임발령을 받아 근무하기 시작했다. 사범학교를 마치고 학교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면서 소녀시절부터 가슴에 묻어두었던 먹향에 대한 아쉬움 때문에 혼자서 서예공부를 해 보았지만 진도가 나가지 않았다. 그리하여 당시 서울보성교등학교에 재직하던 동강선생에게 장문의 편지를 보냈더니 방문해도 좋다는 허락을 얻어내게 되고, 방학 때 상경해서 본격적으로 서예지도를 받았다. 그 때부터 방학이 되면 동강선생의 자택에 머물면서 서예공부에 몰입하기 시작했다. 얼마나 서예를 공부하고싶은 열정이 지극했으면 스승의 댁으로 들어가서 공부할 용기를 내었는지 짐작이 간다. 그리고 이 세상을 마치는 그 날까지 스승에 대한 감사함을 잊지 못한다고 말하니 그 마음이 느껴진다.

 

 1966년 대구 내당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하면서 제15회 국전에 처음 출품해 입선의 영광을 얻었다. 전지 두 장을 붙인 화선지에 <청춘예찬> 1,300여자 전문을 한글로 서사하는데 10시간이상 소요되었다고 한다. 당시 국전에서는 서울작가의 판본체 1점과 선생의 한글이 입선할 정도로 한글은 입상이 어려운 시절이었다. 입선되었다는 소문이 영남지역서단과 교육계에 알려지면서 종로초등학교 서예특기교사로 임명되었고, 교사들의 서예연수를 담당하는 한편 어린 꿈나무들의 서예지도도 열심히 하였다. 그 때 동료교사들이 선생의 별명을 ‘붓글씨’로 불렀다고 하니 선망의 대상이 되었던 듯하다. 처음부터 한글과 한문을 병행해서 공부해 왔었는데 초기작품은 1968년 <부도(婦道)>(圖2)에서 보듯이 동강선생의 필의(筆意)가 느껴진다.

 

 

                                                            도 1. 서체진도표

 

                                                     도 2. <부도> 1968년

 

 그러나 그 이듬해부터 1975년 24회 국전까지 9년 동안 계속해서 낙선하게 된다. 그래도 좌절하지 않고 매년 서체를 바꿔가면서 부지런히 출품했었는데 그것이 오늘날 자신의 서풍을 가꿔나가는데 있어 자양분이 되었다고 한다. 1975년 24회 국전에는 <송풍각>(圖3)을 한문으로 출품해서 입선했고, 1976년 25회 국전에는 <범방전>을 한문으로 출품하여 입선하였다. 그러나 지방작가의 한계와 공모전에 대한 회의가 들게 되어 좌절감이 깊어갔다. 그러던 1979년 대한민국신사임당여성대회를 공정하게 운영한다는 소문을 듣고 출품하였는데 당시 한글의 대가인 갈물 이철경여사가 공개심사를 하면서 장원으로 선정되었다. 그 때부터 다시 용기를 얻어서 공부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갈물선생은 친히 궁체자료를 넘겨주면서 “지방작가는 당신이 처음이니까 열심히 하라”고 격려해 주었던 것이 큰 힘이 되었다고 한다. 이어서 83년에는 한글 <옥호빙심>(圖4)으로 특선을, 87년에는 한글 <겨레의 맥박>으로 특선하면서 공모전을 마쳤다. 이 때 제작된 작품들은 대체로 한글은 고전에 충실하려고 하였고, 한문도 1978년 제작된 <한산시(韓山詩)>(圖5)를 절임하면서 자신의 길을 찾고자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이 선생의 고전학서기는 한문과 한글고전을 두루 섭렵하면서 20년 가까이 충분히 안목을 넓히면서 필력을 다져왔다고 할 수 있다.  

 

 

                                                       도3. <송풍각전문>1975년

 

                                                          도4.<옥호빙심>1983년

 

                                                         도5.<한산시>1978년

 

   

 새로운 양식을 모색한 시기[承古創新]


 왕허주(王虛舟·청나라 서예가)는 옛사람의 글씨를 임서함에 있어 “처음에는 고법을 취하는데 힘쓰고, 취하여 자기 것이 되면 다음에는 고법을 잘 버려야 한다. 취하기는 쉬우나 버리기는 어렵다. 그러나 힘들여 잘 취하지 못하면 잘 버릴 수 없다”라고 하였다. 분명 어렵게 얻은 고법을 버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명가들의 서품에 갇혀 한 걸음도 나가지 못한다면 고전을 배우는 의미는 없어질 것이다. 이렇게 고전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것을 법박(法縛)이라고 한다. 무릇 서예공부는 고전임서로부터 비롯되지만 어느 정도 공부가 된 상태에서는 고전을 바탕으로 그것을 뛰어넘고자하는 각고의 노력이 있어야 자기세계를 펼칠 수 있다.

 

 1984년 열린 첫 개인전 이후부터 작품에 낙관을 할 때 성명을 ‘유영희’에서 ‘류영희’로 바꿔쓰기 시작하면서 선생의 작품양식에도 변화가 보인다. 이때부터 고전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서서히 자신의 시각이 가미된다. 그렇다고 궁체에 대한 관심이 멀어진 것이 아니라 기법이나 표현에 있어 세련미가 이전보다 빼어나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영남지역 서단에서 궁체를 전문으로 하는 작가가 많지 않았을 때 궁체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력을 엿볼 수 있는 작품들이 나오기 시작한다.  1984년 서각으로 제작된 <법구경>(圖6)은 궁체의 해석력을 확장해서 글자의 흐름과 획의 강약(强弱)에서 변화를 모색한 점이 엿보인다. 1987년 작품 <훈계자손가>(圖7)는 한글과 한문을 섞은 혼서인데 한문과 한글을 병행해서 공부해 온 흔적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90년대에 이르면 궁체위주에서 관심의 폭을 필사본으로 넓혀 많은 작품을 한다. 이러한 관심은 1991년 작품 <나옹선사시>(圖8)에서 나타난다. 이 작품에서는 한글과 한문의 어울림이 자연스럽고 한글 세로획에서 굵기 변화가 눈에 띈다. 그리고 같은 글자가 반복되면 변화를 구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가하면 1992년에 선보인 작품 <부부 공경하는 글>(圖9)에서는 방필(方筆)의 굳건함을 표현하고 있다.

 

 

                                                           도6.<법구경>1984년

 

                                                      도7.<훈계자손가>1987년

 

                                                        도8.<나옹선사시> 1991년

 

                                                     도9.<부부공경하는 글>1992

 

 

 한글전문작가가 여러 서체의 한문법첩을 임서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선생은 처음부터 한문과 한글을 함께 공부해 왔기에 궁체의 곱고 연미한 필획에 한문을 휘호하던 붓의 탄력성을 접목하고자 하였다. 한글도 한문처럼 서체를 다양하게 구사해야겠다는 선생의 연구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이시기에 원필을 구사한 판본체 작품을 보면 둥글둥글한 필의와 세로획의 기필과 수필의 굵기에 차이를 주고 행기(行氣)를 넣은 협서를 하여 자신의 시각이 깊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글씨에 정신을 담아내고자 하는 시기


 청대 유희재(劉熙載)는 “글씨에는 정신이 들어가야 하며 정신에는 나의 정신과 다른 사람의 정신이 구별되어야 한다. 다른 사람의 정신이 들어간다는 것은 내가 변해서 옛것으로 되는 것이오. 나의 정신이 들어간다는 것은 옛것을 변화시켜 나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우리는 유희재가 말한 나의 정신[我神]과 남의 정신[他神]을 구별해야한다. 아무리 훌륭한 고전이라도 지금의 나에게 있어 참고와 공부의 자료가 될 수는 있어도 그 자체가 나의 작품이 되지는 못한다. 오직 자기의 정신이 자신의 작품에 들어가야 일가를 이루었다고 평가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2000년부터 최근에는 궁체에서 벗어나 한문과 한글을 혼용한 판본체류의 작품과 선생특유의 서간문형식의 한글글씨체를 구사하고 있다. 2002년도에 제작된 <사랑>(圖10)은 자간(字間)과 행간(行間)을 의식하지 않고 한글과 한문을 섞어서 구성한 작품으로 한문이 어색하지 않게 잘 어울려 보인다. 글자의 크기를 다르게 한다든가 획의 윤갈(潤渴)을 살려서 변화를 꾀하고 있다. <무재칠시無財七施>(圖11)라는 작품에서는 가운데에 한문예서로 제목처럼 크게 써서 시각성을 강조한 뒤 좌우에 한글민체와 한문행서를 섞어서 마무리하고 있다. 특히 무재칠시라는 예서뒷면에 다른 색의 종이를 오려붙여서 두드러지게 처리하였는데 이러한 시도가 최근의 작품에서 여럿 보인다. 재료와 장법(章法)에 대한 변화를 시도해 본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2006년 서울세계서예축제에 출품한 작품 <흑백의 진실>(圖12)에서는 기필과 수필을 경직되게 하지 않고 천의무봉의 자연스러움을 드러내고 있다. 2008년 히로시마교류전에 출품한 작품 <지혜>(圖13)는 최근에 보여주는 판본류의 형상이다. 이렇게 개성이 담긴 글씨꼴에 대해 동강선생은 2003년 3회 개인전도록에서 “천진난만하고 구수한 글씨”라고 평한 바 있다. 바햐흐로 혜정체(蕙汀體)라고 부를 수 있는 글씨꼴들이 이제 무르익어 자연스럽게 드러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도11.<무재칠시>2002년

 

                                                           도13.<지혜>2008년 

 

 

  도반과 함께 꿈꾸는 새로운 반세기 

 

  대구시 중심가인 봉산문화의 거리에 있는 혜정선생의 연구실은 작가의 작업실과 지도하는 공간의 크기가 비슷하다. 작업실에서는 가끔 부군인 구교찬(具敎贊)씨의 시조창이 울려퍼지고 그 곡조에 맞춰 선생이 즉석에서 시조를 휘호하기도 한다. 그야말로 부창부서(夫唱婦書)하는 정경이다. 1968년 가정을 꾸민 뒤 40년 넘게 해로해 온 부군은 경찰간부(서장) 출신으로 늘 든든한 후원자역할을 자임하였다. 그는 퇴임 후 시조창에 전념하여 명창이 되어 여러 곳에 공연을 다니게 되면서 선생의 서예술을 이해하고 지원하는데 더욱 적극적이다.

 또한 부부가 함께 불교대학에 다니면서 불심도 깊어졌다고 한다. 부처님 말씀에 “다만 너 스스로의 마음이지 달리 다른 부처가 없다.[只汝自心 更無別佛]”는 가르침이 있다. 해탈은 자기 밖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마음속에서 구한다는 의미이다. 선생은 자신의 예술창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말이기 때문에 평소 가슴에 담고 실천해 나가려고 노력한다고 한다.


 지금까지 50년 서예역정을 걸어오면서 교직경험 때문인지 기록하고 정리하는 습관이 몸에 배어있다. 그 동안 모아둔 자료와 각종 기록물들이 서가에 가득하다. 여러 권의 메모노트에는 평상시 독서를 하거나 자료를 보았을 때 글감으로 사용하기 위해 모아둔 것들이 차곡차곡 정리되어 있다. 무엇보다 출품한 작품에 대한 자세한 기록을 몇 권의 노트에 빼곡하게 적어놓은 것이 눈에 띈다. 선생이 참여한 각종 그룹전의 도록은 현대 대구서단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예컨대 봉강연서회 회원전은 1968년 1회전부터 2009년 42회전까지 빠짐없이 참여하였는데 고인이 된 소헌선생을 기리기 위해 생을 마칠때까지 앞으로도 계속 참여할 것이라고 한다. 그 동안 모아둔 도록을 통해 현대 대구지역서단의 작품경향과 서예역사를 알 수 있을 정도로 귀한 자료들이다. 특히 여성으로서는 유일하게 53년의 전통을 지닌 사단법인 대구서예가협회의 36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여 대구서단을 위해 봉사하였다. 직접 휘호해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70여점의 석각, 현판 등의 제자(題字)한 작품의 목록 등등도 꼼꼼하게 잘 기록해 놓았다.


 선생은 예술가로서의 길 외에도 주부로서의 길도 잘 걸어왔다. 서예가로서 활동하면서 시부모님을 40년 동안 모셔왔고,  10년 동안 소리없이 병수발을 해왔다. 가족을 위해 헌신한 어머니로서의 역할에도 소홀함이 없었기에 아이들이 성장하여 자기분야에서 제몫을 다하고 있다. 선생은 작가와 어머니로서의 두 길을 성공적으로 걸어올 수 있었던 것은 부군과 불교의 영향이 컸다고 공을 다른 곳으로 돌린다.

 선생의 좌우명은 “머리에는 지혜가, 가슴에는 사랑이, 얼굴에는 미소가, 손에는 일이 있으라”이고, 서실에서 후학들을 지도할 때 강조하는 말은 “기능보다는 훈훈한 사람이 되자”라고 한다. 서예가 무엇이냐는 물음에는 “서예는 인간이 되기 위한 공부다.”라고 말한다.  이런 좌우명이나 원훈을 보면, 자신에게는 가을의 서릿발처럼 냉정하고 남에게는 봄날의 훈풍처럼 살고자 한 삶의 목표를 알 수 있다. 그리고 그것들을 서예술로 환치시키기 위해 노력해 온 것이다. 


 선생은 이제 새로운 길을 만들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지금까지 걸어왔던 길이 한글서예의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대구지역에 일찍부터 이 분야에 천착하여 지역서단의 한글서예 대중화에 공헌한 길이었다면, 앞으로의 길은 새로운 양식을 가진 한글작품을 남겨 우리서단에 공헌하는 길이 될 것이다. 불교와 대구에 관계된 글들을 모아 작품으로 꾸며보고 싶다는 소망을 펼칠 그 길은 평생도반과 함께 걸어가며 자신의 예도를 끝없이 가꾸어 나가는 길이 될 것이다. 


 

                                                   구미 박정희체육관 제자휘호

 

                                              자연보호운동 발상지 제자 기념휘호

 

 

              (사)대구서예가협회 이사장 재임시 난치병학생돕기 서화전수익금 대구시교육감 전달

 

 

                                                혜정연서회 10회 회원전 기념촬영

 

 

                                                   이상화고택 개관기념 제자 휘호

 

 

 

              혜정 류영희 선생 작가약력


                 

        ☐ 국립현대 미술관 초대작가

        ☐ 대한민국미술대전 서예부문 초대작가. 심사위원장역임

        ☐ 대한민국 미술협회 서예부문 이사 (현재)

        ☐ 한국정수대전. 대구시전 초대작가상 수상

        ☐ 신사임당의날 예능대회 장원

        ☐ 서울주제 서예큰잔치 전(예술의전당)

        ☐ 한국서예의 오늘과 내일전 출품

        ☐ 한글서예 뉴밀리니엄전 출품

        ☐ 아름다운 한글서예 특별전 (미국.러시아.중국.독일)

        ☐ 퇴계선생탄신500주년기념유교문화 축전

        ☐ 역대대통령및 현대서예가100인 초대전

        ☐ 동아시아 필묵정신전

        ☐ 한글서예 대표작가 초대전

        ☐ 서예계를 빛낸 여류 초대전

        ☐ 한국서화문화 100인 초대전

        ☐ 대구.히로시마 우호친선을 위한 한글서예 초대전

        ☐ 대구계명대학. 대구교육대학겸임교수 역임

        ☐ 개인전 4회 및 서집발간

        ☐ (사)대구서예가협회 이사장 역임

        ☐ 한국여류서예가협회 부이사장 역임

        ☐ 한국서학회 이사(현재)

        ☐ 경북서예학원 원장(현재)

   


        ☐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 135-13  우700-823

        ☏ 自053-425-4244 事053-423-5656  Fax 053-425-4244

            휴대폰 : 010-3509-2202   

            E-mail : hjyyh@hanafos.com


         

 

                            *이 글은 월간 서예문화 2009년 8월호에 실려있습니다. 

 

         출처 : 다음카페 서예세상 작가세계  http://cafe.daum.net/callipia?t__nil_cafemy=item

 

              

                    

 

 



출처 : 서예세상
글쓴이 : 三道軒정태수 원글보기
메모 :